11월 28일 19:00 V-리그 프로배구 GS 칼텍스 vs 정관장 스포츠 픽
GS칼텍스
GS칼텍스는 실바와 레이나를 중심으로 후위 공격 비중을 크게 가져가며 상대 블로킹을 넓게 흔드는 방식의 배구를 펼친다. 실바는 후위에서도 높이를 유지한 채 강한 스윙을 이어 가며 난이도 높은 볼도 득점으로 바꾸는 역할을 맡고 있다. 랠리가 길어지는 상황에서도 공격 템포를 끊기지 않게 유지해 준다는 점이 팀의 중요한 버팀목이 된다. 레이나는 레프트에서 리시브와 공격을 모두 소화하며 전·후위를 오가면서도 꾸준히 공격 루트를 유지한다. 후위로 내려가 있는 시간에도 백어택 옵션을 가동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격 폭이 좁아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유서연은 리시브 라인을 안정시키는 핵심 자원이자 어려운 볼에서도 사이드 아웃을 만들어주는 존재로, 실바와 레이나의 공격 효율이 살아날 수 있도록 뒤를 든든하게 받쳐준다. 최유림의 빠른 속공도 GS칼텍스 공격 설계에서 빼놓기 어려운 부분이다. 실바와 레이나가 시선을 끌어주는 상황에서 최유림의 속공과 이동 공격이 맞물리면 상대 블로킹 타이밍을 뒤로 미는 효과가 만들어진다. 덕분에 GS칼텍스는 센터와 사이드 공격 후위 백어택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체적인 패턴을 갖추고 있으며, 주 공격수가 흔들리는 상황에서도 여러 루트를 통해 공격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팀으로 평가된다. 리시브가 흔들리지 않는 흐름에서는 세터의 볼 배분이 다양해지고, 그 순간 GS칼텍스의 공격 효율은 가파르게 상승하는 경향이 강하다.
정관장
스포츠 분석 정관장은 자네테의 강타를 중심축으로 세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높이를 활용한 공격에서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팀이다. 자네테는 높은 타점에서 나오는 강력한 공격이 강점이지만 리시브와 수비에서 흔들리는 순간 볼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는 시간이 생기며 공격 리듬이 끊어지는 단점도 있다. 이선우는 레프트에서 필수적인 리시브와 공격을 동시에 처리하며 전체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맡지만, 상대 서브가 집중되는 경기에서는 리시브 라인이 급격히 흔들리면서 세터 운용 폭이 좁아지는 문제가 나타난다. 박은진과 정호영은 블로킹 높이에서 강점을 보이지만 리시브가 불안정해지는 세트에서는 속공을 충분히 활용하기 어려워 센터 공격 비중이 떨어지는 흐름이 자주 이어진다. 리시브가 불안해지는 흐름에서는 세터가 선택할 수 있는 루트가 자네테 하이볼로 고정되기 쉬워 공격 패턴이 단조로워지고 상대 블로킹에 읽히는 장면이 반복된다. 세트가 길어질수록 수비 커버와 전환 과정에서 집중력이 떨어지는 구간도 드러나며 팀 리듬을 꾸준히 유지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보인다. 정관장은 기본적인 높이는 좋지만 리시브 안정 여부에 따라 팀 전술의 완성도가 크게 요동치는 성향이 강해, 리시브가 흔들리는 날에는 속공과 백어택 등 다양한 패턴을 전개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약점이 존재한다.
코멘트
이 매치업은 단순한 공격수 대결이 아니라 리시브 안정성 그리고 속공·백어택 템포 조절에서 어느 팀이 더 안정적인 흐름을 만드는지가 승부의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GS칼텍스는 실바의 고공 후위 공격과 레이나의 레프트 득점 그리고 최유림의 속공이 조합되며 상대 블로킹을 여러 방향으로 흔드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리시브가 안정되기 시작하면 세터의 볼 배분이 한층 부드러워지면서 정관장 수비를 계속 흔들 수 있는 조건이 잡힌다. 반면 정관장은 자네테의 파워와 센터진의 높이로 강한 공격을 시도할 수 있지만 리시브가 흔들리는 순간 공격 옵션이 크게 줄어드는 한계가 있다. GS칼텍스가 초반 서브로 이선우와 자네테 쪽을 노리며 리시브 압박을 시작한다면 정관장의 공격 루트는 빨리 단일화될 수 있고 세트 중반 이후 점수 차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박은진과 정호영의 블로킹으로 흐름을 바꾸려는 시도가 나오겠지만 사이드 아웃이 불안한 상황에서는 높이를 활용한 블로킹 전략도 쉽게 힘을 쓰지 못할 수 있다. 세트가 길어질수록 이선우와 자네테가 넓은 코트를 오랫동안 커버해야 하는 부담이 누적되며 체력 저하와 범실 위험까지 따라붙는 흐름이 예상된다. 반대로 GS칼텍스는 유서연이 중심이 된 리시브 라인이 흔들리지 않는 동안 실바와 레이나의 후위 공격 빈도를 높일 수 있고 최유림의 속공이 여전히 힘을 유지한다면 정관장 블로킹이 정확한 위치를 잡는 것부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GS칼텍스는 상대 약점을 파고드는 서브 전략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리시브 싸움이 초반부터 기울 경우 경기 분위기도 빠르게 한쪽으로 쏠릴 가능성이 있다. 정관장이 서브로 강하게 승부해 한 세트 정도는 흐름을 뒤집을 여지는 있지만 전체 경기에서 이를 반복 유지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종합적으로 보면 GS칼텍스는 백어택과 속공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공격 구성이 잘 짜여 있고 정관장은 리시브편차가 크기 때문에 경기 전체의 완성도 측면에서 GS칼텍스가 좀 더 우세한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슈어맨 추천 픽
승패 : GS칼텍스 승
언/옵 : 오버



